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을 준비하시나요? 아마 다양한 이유가 있을거에요. 예를들면, 이런분들이 있죠.
7급,9급 공무원부터 군무원, 소방,경찰 공무원 등 공무원 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이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으로 대체 되었기 때문인데요. 수능 과목으로 준비하는 분들도 많으실거구요.
한국사 고급, 심화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서 에듀윌 한국사나 최태성 한국사 유튜브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준비 중 일거라 생각합니다.
저도 이번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에 응시하며, 최태성 선생님의 유튜브 무료 강의를 들으며 공부 중 입니다.
따로 돈을 지불하여 공부할 생각없이, 유튜브 무료강의와 기출문제(무료)로 공부 마무리할 생각입니다.
아래는 최태성 한국사 무료 강의 주소와 기출문제 제공되는 사이트 주소입니다.
▼최태성 유튜브 강의
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0MVv0wGYB078pISgHFwhzQ
www.youtube.com
▼한국사 기출문제
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-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
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
www.comcbt.com
각설하며, 한국사 능력 검정(한능검)대비 간단 요약(고대 국가 - 경제, 사회, 문화) 정리입니다
경제
조세(토지세), 공납(특산물), 역(노동력) - 민정문서
작성 목적 : 조세 수취 -> 고려, 조선(사람은 호적, 토지는 양안)
일본에서 발견 -> 서원경(청주)지역의 민정문서
※ 청주는 직지심체요절 발견 지역
촌주가 3년마다 한 번씩 작성
토지
수조권과 관련된 토지 - 관료전, 녹읍 - 노동력 수취의 차이
정전(성덕왕 때 지급) - 백성들의 토지 소유권 - 고려와 조선은 민전
※ 녹읍 -> 관료전(신문왕) -> 녹읍 폐지(신문왕) -> 정전 지급(성덕왕) -> 녹읍 부활(경덕왕)
시장
동시(전) - 지증왕
서시와 남시 - 통일신라
장보고
중국과의 무역
법화원, 청해진(완도), 신라방, 신라소, 신라원
울산항(국제무역) - 페르시아 유리, 원성왕릉 무인상(외국과의 교류)
당항성(진흥왕) - 중국과 직교역
발해
발해관(당나라), 거란도, 신라도, 일본도, 조공도(당나라)
5경 15부 62주 중 하나의 부인 솔빈부의 말
사회
화백회의와 화랑도는 씨족사회의 전통
화랑도
화랑과 낭도 - 계급 갈등 완화
진흥왕 : 국가조직으로 개편
신채호 : 낭가 사상(호연지기 적인 호방한 모습이 우리의 원류다) - 일제 강점기
화백회의
만장일치제도
※신라(화백회의), 백제(정사암), 고구려(제가회의), 발해(정당성)
골품제
폐쇄적인 신분제도
성골 : ~진덕여왕
진골 : 태종 무열왕(김춘추) ~
6두품 : "아찬" 까지
- 설계두(신라를 떠나 당으로 감), 설총(원효의 아들, 신문왕 때 등용되어 화왕계), 최치원(빈공과 합격, 토황소격문, 시무 10조 - 받아들여지지 않음, 계원필경)
문화
유교 | 역사 | 도교 | |
고구려 | 중앙: 태학(소수림왕) 지방: 경당(장수왕-평양천도이후) - 문+무 |
[유기] -> [신집] 5권 - 영양왕, 이문진 |
신선, 무위자연 -> 사신도 |
백제 | 박사(오경,의,역) 왕인(논어, 천자문 -> 일본 전파) 사택지적비(부여) |
[서기] - 근초고왕, 고흥 |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|
신라 | 임신서기석 화랑도 세속오계(원광법사) |
[국사] - 진흥왕, 거칠부 | 화랑도->낭가사상(신채호) |
통일신라 | 국학(신문왕) 설총(신문왕 <- 화왕계) : 이두정리 강수: 외교 문서 김대문: [화랑세기], [고승전], [한산기] -> 자주적, 주체적 독서삼품과(원성왕) 최치원: 빈공과, 토황소격문, [계원필경] |
- | - |
발해 | 주자감 | - | - |
■ 불교 - 왕실주도, 업 사상, 호국
고구려
소수림왕(<- 전진)
백제
침류왕(<- 동진)
신라
법흥왕(이차돈)
- 불교식 이름 ~ 진덕여왕
통일신라
원효 - 불교 대중화
- 무애가, 일심, 아미타신앙(정토종)
- 화쟁사상 -> 원융회통, [십문화쟁론], [대승기신론]
의상 - 불교 대중화
- 관음
- 화엄종(일즉다 다즉일): [화엄일승법계도], 부석사 창건
혜초
- [왕오천축국전]
선종 유행 -> 9산 선문(호족 후원) - 풍수지리(도선)
■ 불상, 불탑
불상 | 불탑 | ||
고구려 |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|
금동 연가7년명 여래 입상 | - |
백제 |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-백제의 미소 |
익산 미륵사지 석탑(무왕-서동,선화)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- 평제탑 |
|
신라 |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| 경주 분황사 석탑(모전탑) 황룡사 9층 목탑(선덕여왕<-자장 건의) -고려시대 몽골의 침입 때 불타없어짐 |
|
통일신라 | 석굴암 본존불 | 경주 불국사 3층 석탑(=석가탑, 무영탑) -무구정광대다라니경(현존 세계 최고 목판인쇄물) 다보탑 감은사지 3층 석탑(신문왕->문무왕)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승탑 유행(선종의 영향) :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|
|
발해 | - | 이불병좌상 | 영광탑 |
■ 과학, 건축, 고분
※ ~총: 무덤의 주인을 알지 못할때(ex)천마총, 호우총)
과학 | 건축 | 고분 | |
고구려 | 천문도->천상열차분야지도(조선-태조) - 왕권 강화, 농업 |
안학궁(평양) -장수왕 남하정책 |
돌무지 무덤(장군총)->굴식 돌방 무덤(모줄임, 입구O, 벽화O, 도굴O) |
백제 | 칠지도(왜, 근초고왕) | 미륵사(익산) 왕궁리 - 무왕 |
돌무지 무덤(석촌동 고분) -> 굴식 돌방 무덤 + 벽돌무덤(무령왕릉) ~> 중국 남조(양) |
신라 | 금관 첨성대(선덕여왕->분황사, 황룡사 9층 목탑) |
황룡사-진흥왕 | 돌무지 덧널 무덤(천마총, 황남대총)-입구X, 벽화X, 도굴X - 껴묻거리多 |
가야 | 덩이쇠(철판갑옷, 금동관) 금관가야 - 김해 대성동 대가야 - 고령 지산동 |
- | 지산동, 대성동 고분군 |
통일신라 | 상원사 동종(성덕왕):현존 최고 동종 성덕대왕신종(경덕왕~혜공왕):에밀레종 ※경덕왕: 녹읍 부활, 불국사 |
불국사, 석굴암 동궁과 월지(안압지) |
굴식 돌방 무덤(김유신묘) -12지신상(호석) |
발해 | - | - | 굴식 돌방 무덤(고구려 영향) -정혜공주묘(문왕의 둘째딸), 돌사자상 벽돌무덤(중국 영향) -정효공주묘(문왕의 넷째딸) |
■ 교류
日 교류 | 外 교류 | |||
고구려 | 아스카문화 | 금동 미륵 보살 반가 사유상 ->목조(고류사) |
수산리고분벽화->다카마쓰 담징(금당벽화) 혜자->쇼토쿠 태자 스승 |
우즈베키스탄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각저총 |
백제 | 아직기, 왕인 -> 日 백제 가람 |
- | ||
신라 | 조선술 축제술->한인의 연못 |
보검, 유리(페르시아산) | ||
가야 | 스에키 | - | ||
통일신라 | 하쿠호문화 | - | - | 원성왕릉(괘릉)무인상 |
발해 | - | - | - |